SKP Chemical

화강석의 황변 표면의 녹 제거제, 스케일 제거제, 화강석 녹 제거방법, 화강석 녹 제거제, 녹 바르는 약품, 화강석 세정제, 녹 제거제, 화강석 녹 제거 약품, ECOS-Q2 본문

Facility

화강석의 황변 표면의 녹 제거제, 스케일 제거제, 화강석 녹 제거방법, 화강석 녹 제거제, 녹 바르는 약품, 화강석 세정제, 녹 제거제, 화강석 녹 제거 약품, ECOS-Q2

www.skpchem.com/031-497-6121 2016. 12. 12. 14:18

도로 경계석이나, 계단, 각종 시설물의 내 외강재로 화강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 사용되는 화강석은 조성 성분에 따라, 표면이 황갈색으로 변색되는 경우가 많다.

화강석의 주성분은 장석, 석영, 운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철 성분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금속 성분이 산화되어 산화철의 형태로 되어 황변 또는 흑변을 일으킨다.

변색의 원인으로는 화강석의 금속성분 함유의 원인 뿐 아니라, 주변의 환경에 따라, 금속성분의 먼지 및 모래 등의 오염물, 산성비, 제설제인 염화칼슘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빗물과 같은 습기에 의해 변색이 가속화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물리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이 사용되며, 이들 성분은 염산 및 불산의 수용액과 활발하게 반응하며, 탈색을 일으켜 화강석 본질을 변화시키며, 화강석 표면에 생성된 황갈색으로 보이는 산화철을 급속도로 용해시킨다.

이러한 저가의 화공약품인 염산 또는 불산을 함유한 세정제로 화강석을 제거하면, 화강석 표면이 식각되어 표면이 약화되고 거칠어져, 원래의 색감을 잃게 될 뿐 아니라, 세정 후에 쉽게 오염되므로 표면에 철분이 들어나게 되어 빠른시간 내에 산화되어 다시 변색이 된다.

따라서 염산 및 불산이 함유된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변색 및 오염된 외장 화강석 세정 실행의 예>

오염된 화강석표면에 세정제를 붓 등으로 도포한다.

 

오염 정도에 따라 3~10분 경과 후 플라스틱 브러쉬로 문지른 후 수세한다.

 

오른쪽 및 아랫쪽 계단은 세정한 후의 모습

 

세정액 도포 모습 (오른쪽)

 

▲세정을 실시한 후의 표면 상태 비교

 

홈페이지: https://www.skpchem.com

유튜브: SkpChem - YouTube

'Facilit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드레일 세정제, 세관제, 세정방법  (0) 2017.12.22
Comments